크리스마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크리스마스(동음이의어) 문서
의 [[크리스마스(동음이의어)#s-|]]번 문단을
의 [[크리스마스(동음이의어)#|]]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의 [[#s-|]]번 문단을
의 [[#s-|]]번 문단을
의 [[#|]] 부분을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탄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2024년 성탄절까지
D+140


성탄절
聖誕節 | Christmas
파일:목자들의경배_렘브란트.jpg
목자들의 경배
Guido Reni, 1642
날짜12월 25일(1)
지위법정 공휴일
근거 법령「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제2조 제10항
언어별 명칭
한국어성탄절, 기독탄신일(2), 주님 성탄 대축일(3)
한자, ,
영어Christmas, X-mas
기독교 전례 언어
그리스어Χριστούγεννα(Christoúgenna, 흐리스투옌나)(4)
아람어(ʿĒda d-mawlada), ܥܹܐܕܵܐ ܙܥܘܿܪܵܐ(ʿĒda zʿora)(아시리아 신아람어)
라틴어Sollemnitas in Nativitate Domini, Christi Natalis, Natalis Domini, Nātīvitās/Nativitas, Festum Nativitatis Domini
언어별 표기 [ 펼치기 · 접기 ]
기타 언어 (가나다순 배열)
고대 노르드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Jól
과라니어Arareñói
구자라트어નાતાલ(Nātāl)
그린란드어Juulli
나바호어Késhmish
네덜란드어Kerstmis(케르스트미스),(5) Kerst
네팔어क्रिसमस(Krisamas)
노르만어Noué
노르웨이어Jul(율)(보크몰)
Jol, Jul(율)(뉘노르스크)
덴마크어
스웨덴어
Jul(율)(6)
독일어Weihnachten(바이나흐텐)(7)
Wiehnachten(독일 저지 독일어)
Wiehnachte(알레만어)
Weihnåchtn, Boinichtn(Cimbrian), Bainechtn(Mòcheno)(오스트로바이에른어)
라오어ຄິດສະມາດ(Khit sa māt), ໂນແອນ(Nō ʼǣn), ບົນໂນແອນ(Bon nō ʼǣn)
라트비아어Ziemassvētki, Ziemsvētki
러시아어Рождество́ Христо́во(Roždestvó Xristóvo), Рождество́(Roždestvó, 로지데스트보),(8) Кри́стмас(Krístmas)(구어, 외국인 커뮤니티)
루마니아어Crăciun, Nașterea lui Isus Cristos, Nașterea Domnului
Crãciun(아로마니아 방언)
루신어Ріство́(Ristvó)
룩셈부르크어Chrëschtdag
리투아니아어Kalėdos
마라티어नाताळ(Nātāḷ)
마오리어Kirihimete
마인어Natal(나탈), Hari Natal, Krismas
마케도니아어Божиќ(Božiḱ)
말라얄람어ക്രിസ്തുമസ്(Kristumasŭ)
메그렐어ქირსე(Kirse)
몬어တ္ၚဲခရေတ်သမာတ်(mnw), ခရေတ်သမာတ်(mnw)
몰타어Milied
몽골어Зул сар(Zul sar), Христосын мэндэлсэн өдөр(Xristosyn mendelsen ödör)
미얀마어ခရစ္စမတ်(Hka.racca.mat), နာတာလူးပွဲ(Natalu:pwai:)
바스크어Eguberri
베트남어Lễ Giáng sinh, Nô-en(9)
벨라루스어Каля́ды(Kaljády), Раство́(Rastvó), Ражджаство́(Raždžastvó), Ражаство́(Ražastvó), Нараджэ́нне Хрысто́ва(Naradžénnje Xrystóva)
벵골어বড়দিন(Bôṛôdin)
볼라퓌크Kritid, Kritidazäl
불가리아어Коледа(Koleda), Рождество Христово(Roždestvo Hristovo)
빌라모비체어Waeinahta, Wajnaochta
사미어Jåvlh(남부 사미어)
Juvlla(우메 사미어)
Jåvvlå(피테 사미어)
Javlla(룰레 사미어)
Juovllat(북부 사미어)
Juovlah(이나리 사미어)
Rosttov(스콜트 사미어)
산탈리어ᱢᱟᱨᱟᱝ ᱢᱟᱦᱟᱸ(maraṅ mahã)
세르보크로아트어Божић/Božić, Рождество/Roždestvo
소르브어Hody(상소르브어)
Gódy(하소르브어)
소토어Kresemese
수우어Wóšpipi, Wóšpipi Káǧapi(라코타)
스라난 통고Bedaki, Kresneti
스와힐리어Krismasi
스코트어Yule(율)
스페인어Navidad(나비다드)
Navidá, Ñavidá(아스투리아스어)
슬로바키아어Vianoce
슬로베니아어Bôžič
신디어ڪرسمس
실레시아어Weihnachta, Weihnachten
싱할라어නත්තල(Nattala)
아랍어عيد الميلاد(ʿĪd al-mīlād, 이드 알-밀라드),(10) الْمِيلَاد(Al-mīlād), الْكْرِيسْمَاس(Al-krismas)
عيد الملاد(ʿĪd il-milād)(이집트 아랍어)
الكرسمس(Al-krismis, Al-krismas)(히자즈 방언)
아르메니아어Սուրբ Ծնունդ(Surb Cnund)
아삼어বৰদিন(Bordin)
아제르바이잔어Milad bayramı, Milad, milad
아프리칸스어Kersfees
알바니아어Krishtlindja, Kërshëndella
암하라어ገና(Gäna)
에스토니아어Jõulud
에스페란토Kristnasko(크리스트나스코)
에웨어Blunya
오리야어ବଡ଼ ଦିନ(Bôṛô dinô), କିସ୍ମସ୍(Kismôs)
오지브웨어Niibaanamom
오크어, 카탈루냐어Nadal
왈롱어Noyé
우즈베크어Mavlud, Rojdestvo
우크라이나어Різдво́(Rizdvó), Різдво Христове(Rizdvó Xrystóve, 리즈드보 흐리스토베)
위구르어روجدېستۋو(Rojdëstwo), روجىستىۋا(Rojistiwa)
유픽어Alussistuaq, Selavi
이디시어ניטל(Nitl)
이탈리아어Natale(나탈레)
Nadel(라딘어)
Natali(시칠리아어)
Nadâl(프리울리어)
잉그리아어, 핀란드어Joulu(요울루)
일본어クリスマス, 聖誕祭(せいたんさい), 降誕祭(こうたんさい)(11)
조지아어შობა(Šoba)
줄루어Ukhisimuzi
중국어圣诞节(Shèngdànjié)
耶誕節(ㄧㄝ ㄉㄢˋ ㄐㄧㄝˊ)(대만)
圣诞节(Sṳn-tan-chiet)(객가어)
圣诞节(sing³ daan³ zit³)(광동어)
圣诞(Sèng-tàn), 耶诞(Iâ-tàn)(민남어)
체로키어ᏓᏂᏍᏓᏲᎯᎲ(Danisdayohihv)
체와어Khirisimasi
체코어Boží hod, Vánoce(바노체)(12)
추바시어Раштав(Raštav)
칸나다어ಕ್ರಿಸ್ಮಸ್(Krismas)
카렐어Rastavu
카자흐어Рождество(Rojdestvo)
켈트어파Nollaig(아일랜드어)
Notlaic(고대 아일랜드어)
Nollick, Nollick Vooar(맨어)
Nedeleg(브르타뉴어)
Nollaig(스코틀랜드 게일어)
Nadolig(웨일스어)
Nadelyk(표준), Nadelek(Unified)(콘월어)
쿠르드어Gaxan, Noel, Krismas(쿠르만지 방언)
크메르어ណូអែល(Nouʼael), បុណ្យណូអែល(Bon nouʼael)
키르기스어Рождество(Rojdestvo)
타밀어கிசிமிசி(Kicimici), கிறிஸ்மஸ்(Kiṟismas), கிறித்துமசு(Kiṟittumacu), கிறிஸ்துமஸ்(Kiṟistumas), நத்தார்(Nattār)
타타르어Раштуа(Raştua)
태국어คริสต์มาส(Krís-mâas), คริสตสมภพ(Krít-dtà-sǒm-póp)
튀르키예어Noel(노엘)
텔루구어క్రిస్మస్(Krismas)
투르크멘어Isanyň dogluşy, Roždestwo, Milad
티베트어ཡེ་ཤུའི་འཁྲུངས་སྐར(Ye shuʻi ʻkhrungs skar)
ཡེ་ཤུའི་འཁྲུངས་སྟོན(Ye shuʻi ʻkhrungs ston)(종카어)
파슈토어کریمیس
파피아멘토어Pasku
펀자브어ਵੱਡਾ ਦਿਨ(Vaḍḍā din), ਕ੍ਰਿਸਮਸ(Krismas)
페르시아어کریسمس(Krismas), عید میلاد مسیح(Eyd-e milâd-e masih), عید نوئل(eyd-e no'el)
Мавлуди Исо(Mavludi Iso), Кристмас(Kristmas)(타지크어)
포르투갈어Natal(나탈)
Nadal(갈리시아어)
폴란드어Boże Narodzenie(보제 나로제니에)
프랑스어Noël(노엘)
필리핀어Pasko
하와이어Kalikimaka, Kalikamaka
하우사어Kirsimati
헝가리어Karácsony(커라초니)(13)
훈스리크어Weinachte
히브리어חַג הַמּוֹלָד(Khag ha'molad)
힌디어क्रिसमस(Krismas), क्रिस्मस(Krismas), बड़ा दिन(Baṛā din)
کرسمس(Krismas)(우르두어)


목차

1. 개요

1. 개요


성탄절 혹은 기독탄신일기독교에서 예수의 탄생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가톨릭에서는 주님 성탄 대축일(Festum Nativitatis Domini)이라고 하여 주님 부활 대축일을 포함한 파스카 성삼일 다음으로 가장 성대한 기념일이며, 정교회와 개신교에서도 부활절 다음으로 큰 기념일이다. 근대 전 기독교 국가들은 성탄절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령 제28394호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이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1975년이 되어서야 공휴일로 지정된 부처님오신날과 달리 성탄절은 1949년 정부 수립 후 최초로 지정된 공휴일 중 하나로 매년 꾸준하게 휴일로 지내고 있다.
(1) 그레고리우스력 12월 25일 혹은 율리우스력 12월 25일(=그레고리우스력 1월 7일).
(2) 대통령령에서의 표기
(3) 가톨릭에서의 표기
(4) 의미 그대로 번역하면 '그리스도의 탄생일'이란 뜻이며 영어로 크리스마스의 약자로 X-mas라고 쓰는데 이 그리스도(Χριστός, Chrīstos, 흐리스토스)를 뜻하는 그리스어의 첫 글자에서 비롯되었다.
(5) Kerstfeest(케르스트페이스트)나 Kerstdag(케르스트다흐, 직역하면 그리스도의 날)로도 부른다. 네덜란드 현지 개신교에서 kerstdag를 더 많이 사용하는데 '-mis'란 단어의 어원상 개신교에서 사용하기엔 부적절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6) 기독교화되기 전에 있던 동지#s-2 축제의 이름이 그대로 남은 것. 영어의 'Yule(율)'과 어원이 같다.
(7) 중세 독일어로 '성야'를 가리키는 'Wihen Nachten'에서 유래했다.
(8) 실제 발음은 '라즈졔스트보' 정도에 가까우며, '탄생'이라는 뜻이다.
(9) 아래 프랑스어 Noël에서 유래한 표현.
(10) '탄생(ميلاد)제(عيد)'라는 뜻이다.
(11) 정교회에서의 표기
(12) 위의 독일어 Weihnachten에서 유래한 표현.
(13) 불가리아어로 '동지#s-2'를 가리키는 крачун에서 유래. 기독교 전파 전 슬라브족의 동지 축제 이름을 카르파티아 분지로 건너온 마자르족이 받아들인 것.